안전진단기관 업무
-
건설현장에서 실시해야하는 교육의 종류안전진단기관 업무 2024. 3. 21. 16:52
정기교육 정기교육이란 : 사업주가 소속 근로자에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안전보건교육을 말한다. 채용시 교육 채용시 교육이란 : 사업주가 근로자를 채용할 때 근로자에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작업에 필요한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함을 말한다.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이란 : 사업주가 근로자의 작업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근로자에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함을 말한다. 특별교육 특별교육이란 : 사업주는 근로자를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에 채용, 작업내용 변경하는 경우 고용노동부령 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안전보건교육을 추가적으로 하여야 한다.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이란 : 건설업의 사업주가..
-
건설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대상 및 작성내용안전진단기관 업무 2024. 3. 19. 16:48
유해위험방지계획서란 산업안전보건법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해당하는 경우 유해, 위험방지에 관한 사항을 적은 계획서를 말합니다.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제조업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계기구 설비 및 건설업의 경우 작성 및 확인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의 범위에서 건설업의 범위에 대해서만 알아 보겠습니다. 우리는 건설안전기술사를 준비하는 중이기 때문에..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공사 1. 지상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2. 연면적 3만m2이상인 건축물 3. 연면적 5천m2이상인 시설로서 다음의 어느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물원 식물원은 제외한다) - 판매시설, 운수시설(고속철도의 역사 및 집배송시설은 제외한다) - 종교시설 - 의료시설..
-
작업중지란??? 작업중지의 해제 절차??안전진단기관 업무 2024. 3. 18. 15:45
작업중지의 종류 작업중지란 사업장에서 산업재해의 발생의 위험이 있는 경우 근로자, 사업주, 고용노동부 장관이 작업을 중지시키고 근로자를 작업장소에서 대피시키는 등 안전 및 보건에 관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1. 사업주에 의한 작업중지 ( 사업주는 산업재해의 발생의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작업의 중지를 하여야 한다.) - 악천 후 및 강풍시 작업의 중지 ( 강풍 및 강우, 지진 의 경우 작업의 중지를 하여야 합니다.) - 정비 등의 작업시의 운전정지 등 ( 공작기계, 수송기계, 건설기계 등의 정비, 청소, 급유, 검사 등 작업에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기계의 운전을 정지하여야 합니다.) - 터널 건설의 작업 중 낙반, 출수등에 의하여 산업재해의 발생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
-
산업안전지도사 시험과 건설안전기술사 시험의 차이안전진단기관 업무 2024. 2. 24. 20:09
저번주 금요일까지는 산업안전지도사 접수로 인해 사무실 분위기가 어수선 했다. 얼마 남지않은 기간안에 공부를 과연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에 접수를 주저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1차의 경우는 대부분 3과목 기업진단을 제외하고는 어느정도 찍어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덜컥 접수를 하는 사람들도 대다수 였다. 나의 경우는 아무래도 후자의 경우가 아닌가 싶다. 어느정도 1과목 산업안전보건법과 2과목 안전일반의 경우 기술사의 공부때 접해 보았기 때문에 많은 이질감 없이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3과목은 경영학과 위생일반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기때문에 조금은 생소하다고 볼 수 있다. 건설안전기술사와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을 모두 준비하면서 느끼는 차이점을 한번 이야기 해보고 싶다. 솔직히 아직 모두 합..
-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 (C.S.I) - 안전관리계획서 업무안전진단기관 업무 2024. 1. 4. 22:20
건설현장에서 안전관리계획서나 건진법으로 점검을 하고 나서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 일명 (C.S.I)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안타깝게도 현장의 관리를 편리하게 해주는 종합정보망임에도 대부분 현장에서는 이를 불편해 하는게 현실이다. 왜일까? 대부분 예전에는 대면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인터넷으로 넣어버린 것도 있겠지만 절차에대해서 알아보는 것을 대부분 미루고 미루고 하다보니 생긴 일인 것 같다. 우선 안전관리계획서에 대해서 항상 문의가 오면 우선 작성을 했는데 이걸 어떻게 올려요? 라고 물어 보는 부분이 가장 많다. 우선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에서 안전관리계획서의 업무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안전관리계획서의 검토 안전관리계획서의 경우 작성을 하면 이를 전문기관에 검토를 ..
-
건설안전 컨설팅은 무엇일까??안전진단기관 업무 2023. 12. 31. 23:01
건설현장의 컨설팅이란 무엇일까? 처음에 들었을때는 조금 거창해 보이기도 하고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다른 사업 같은 경우에는 컨설팅이라고 하면 사업의 확장이나 사업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을 말하게 되는데 건설안전분야의 경우도 대략 비슷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장에서 안전업무라고 하면 담당을 하고 있지만 내부에서 안전을 하기에는 실질적으로 느껴지지도 않으며, 잘 진행되고 있는지도 모르는게 현실이다. 당장 사고가 나지 않으면 되는것 아닌가? 라는 생각이 근로자나 관리자 입장에서도 크기때문에 외부전문가의 눈으로 객관적으로 보아주는 것을 건설안전컨설팅이라고 할 수 있다. 컨설팅을 다니는 사람의 입장으로 좋은점이라고 한다면 다양한 현장을 경험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한달에 많게는 20개 적..
-
안전관리계획서 작성하기(세부안전관리계획)안전진단기관 업무 2023. 12. 30. 23:06
앞서 언급했던 안전관리계획서의 경우 총괄안전관리계획에 대해서 어떠한 내용으로 작성이 되는지 말씀을 드렸다면 이번에는 세부안전관리계획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세부안전관리계획이야 말로 공사에 대한 안전관리계획을 작성하고 이에 대해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 하겠다. 처음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했을때를 생각해보면 아파트만 짓는줄 알았고(그때 당시에 아파트 공사가 굉장히 많았으므로) 토목이나 그 외의 구조물의 경우는 작성을 해보지 않았다 하지만 작성을 하다보니 교량 터널 항만 등 다양한 토목 구조물도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관리함을 알게 되었다. 우선 지금의 기준은 일반적이 안전관리계획을 우선으로 이야기 해보겠다. 가설공사 가설공사라고 하면 가설에 대한 모든 공사를 말할 수 있다. 우리가 안전..
-
안전관리계획서 작성하기 (총괄안전관리계획)안전진단기관 업무 2023. 12. 30. 17:15
안전진단기관에서 진단만 하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다. 지금처럼 경기가 안좋으면 대규모현장의 안전관리계획서 같은 경우도 많이 없다. 대부분 소규모 현장의 안전관리계획서나 안전보건대장의 업무가 대부분일 것이다. 안전보건대장은 나중에 한번더 언급하여 글을 적어 보겠다. 안전관리계획서 작성대상 안전관리계획서 작성대상의 경우 워낙 포털을 찾아보면 많을 것이다.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고, 뭐 본다고 해도 나의 현장에 맞는지 구분하는게 어렵지 작성대상을 찾는것은 별로 어렵지 않다. 그렇다면 조금 다르게 안전관리계획서 작성대상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처음에 의뢰가 오면 조금 슬픈일이지만 현장에서는 아는 정보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냥 실시설계 전에 안전관리계획서 의뢰가 오는 경우가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