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균열의 종류
    산업안전지도사 정리(건설) 2024. 1. 6. 19:41
    반응형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발생하는 균열의 종류에는 타설의 시간에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균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는 타설 후 경화하면서 발생하는 소성수축균열,침하균열,자기수축균열이 있으며 경화 이후 발생하는 건조수축균열, 동결융해의한균열,탄산화 알칼리반응에 의한 귱열 등 이 있다.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균열의 경우 재료 및 시공 설계단계에서 부터 관리하여 균열의 발생을 최소화 하며, 이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하여야 한다.

     

    콘크리트의 균열의 종류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균열의 종류에는 타설 후 경화 하면서 발생하는 균열과 결화 후 발생하는 균열로 나누어 본다.

     

    경화 하면서 발생하는 균열의 종류

    1. 침하균열

     콘크리트 타설 후 다짐을 실시하면서 압밀에 의한 침하 발생 그로인한 균열발생

     

    2. 소성수축균열

     콘크리트 타설 후 골재, 잔골재, 시멘트 등 비중의 차이 때문에 무거운 것은 가라앉고 물을 위로 떠오르는 현상으로 발생하는 수축균열 이는 블리딩수의 발생보다 외부의 건조한 바람이 더 강한 경우 심하게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3. 자기수축균열

     수화반응으로 내부의 수분이 소비되면서 체적이 감소하고 이때 발생하는 균열

     

    경화 후 발생하는 균열의 종류

    1. 탄산화 알칼리 반응에 의한 균열

    - 탄산화 반응이란 수산화 칼슘이 외부의 이산화 탄소와 반응하여 탄산칼슘과 수분으로 변하며 이의 수분이 철근의 부식을 촉진시켜 철근의 체적변화로 발생을 유발함 이로 인한 균열

    - 알칼리 반응이란 시멘트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의 실리카 성분이 반응하여 골재의 체적이 과도하게 변화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발샐

     

    2. 온도 균열

     - 온도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발생

     

    3. 건조수축

     -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는 수분이 점차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건조수축 발생

     

    체적변화에 따른 균열 방지대책

    이와 같이 콘크리트는 타설시 부터 경화 후에도 지속적으로 체적이 변화하며 균열을 발생 시킨다. 이에 대한 예방 대책으로 설계의 단계부터 시공시 까지 관리를 하여 균열에 대한 피해를 예방하여야 한다.

     

    1. 설계적 대책

     균열에 대한 예방대책 설계반영

     1) 신축,수축이음장치의 설치

     2) 건조수축 방지를 위한 설계

     3) 하중의 산정에 따른 설계반영

     

    2. 재료적 대책

     1) 고강도 고성능 콘크리트 사용

     2) 물 시멘트비 최소배합

     3) 잔골재율 최소배합

     4) 슬럼프치 기준내 최소 유지

     5) 시멘트의 분말도 최소

     6) 적절한 혼화제 사용

     

    3. 시공시 대책

     1) 재료분리,블리딩 방지

     2) 과도한 다짐 금지

     3) 양생시 온도변화 최소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